언어를 선택하세요

센유지 (泉涌寺) 의 경내에 있는 소쿠조인 (即上院) 의 문. 

 시치죠역 (七條駅) 에서 게이한선 (京阪線) 을 타고 오사카 방면으로 가면 조금 후에 도후쿠지역 (東福寺駅) 에 도착합니다.  그 역 근처에는 역과 같은 이름의 선종 (禅寺) 인 도후쿠지 (東福寺) 라는 절이 있는데 가을에는 단풍구경을 하러 사람들이 많이 오는 곳입니다.  그리고   센유지 (泉涌寺) 라는 절도 있는데 가마쿠라시대 (鎌倉時代) (1185-1333 )  부터 천황가의 능이 모셔져 있습니다.

  센유지를 향해 완만한 고개를 올라가면 대문 바로 왼쪽에 소쿠조인 (即上院) 이라는 말사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선종 절의 경내에는 수많은 말사 즉 본당에 딸려 있는 절이 있는데 그절의 정식 이름은 ‘센유지-소쿠조인’ 입니다.  그 소쿠조인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아미타여래와 그가 거느리고 있는 25명 보살들의 불상인데 그들은 임종을 맞는 사람을 극락정토로 데려가기 위해 오신다고 합니다.

 

임종 때 정토에서 마중 오는 아미타여래 (阿弥陀如来) 와 25 명의 보살 (菩薩).

 아미타여래는 사후의 세계인 정토 (浄土) 의 왕입니다.  불교의 우주관에 따라 정토에는 어떤 악도 없습니다.  그리고 보살은 여래의 제자인데 득도의 수준이 여래의 바로 다음입니다.  보살들은 여러 가지 악기로 아름다운 음악을 늘 연주해서 정토를 음악으로 가득하게 합니다.

  현실세계인 더러운 예토 (穢土) 에서 오직 "나무아미타불!" 이라고 여섯 글자를 읊으면 죽어서도 정토에서 새로 태어날 수 있고 임종 때에는 아미타여래가 그의 제자들인 보살들과 같이 머리맡으로 마중와서 정토로 인도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 세계를 주로 그림으로 그려 가케지쿠 (掛け軸) 즉 족자  형태로 임종 때에 머리맡에 걸어놓습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곧 돌아가실 것 같은 아버지에게 자식이 이렇게 말합니다. "아버지 왔어요! 왔어요! 다 왔어요! 아미타여래와 보살들이. 아름다운 음악이 들려요? 어서 같이 가세요! 안녕히 가세요!" 아버지는 대답합니다.  "아미타아아아…..! 감사함으으으….!"  그래서 임종 때에 여래와 보살들이 극락정토로 맞아들이러 오는 그림을 라이고즈 (来迎図) 라 합니다. 수 많은 라이고즈가 지금도 남아 있지만 거의 다 그림으로 된 것입니다. 하지만 소쿠조인의 아미타여래와 25명의 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보살들은 목제 조각상으로 일본에서도 매우 드물어서 문화재로서도 아주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그 조각상들을 임종 때에 머리맡으로 가져 갈 수 있다면 누구나 더 좋은 극락정토로 갈 것 같네요!

 

소쿠조인 (即上院) 의 본당.

We use cookies on our website. Some of them are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the site, while others help us to improve this site and the user experience (tracking cookies). You can decide for yourself whether you want to allow cookies or not. Please note that if you reject them, you may not be able to use all the functionalities of the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