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를 선택하세요

경내 남쪽에 있는 혼류지 (本隆寺) 의 문

  여기저기로 끌려다녀야만 했던 이와가미상이라는 바위가 있는 곳에서 남쪽으로 수백 미터 떨어진 곳에 혼류지 (本隆寺) 라는 절이 있습니다.  그 절 안에 있는 본당은 1657 년에 지어졌는데 에도시대 (江戸時代) (1603 – 1867) 에 발생한 두 번의 큰 화재에도 기적적으로 살아남았습니다.  그리고 그 본당 왼쪽에는 소나무가 한 그루, 중앙 계단 옆에는 우물이 하나 있는데 소나무에도 우물에도 각각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먼저 그 소나무는 요나키도메노마츠 (夜泣き止めの松) 라고 불리는데  ‘밤에 우는 아기를 그치게 하는 소나무’ 라는 뜻입니다.  1532 년 설날에 니따이 (日諦) 라는 젊은 스님이 본당 안에서 불경을 외고 있을 때 밖에서 여자가 아기를 안고 울며 서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여자는 같은 행동을 며칠간 반복하더니 어느날 자기 아기를 스님에게 키워 달라고 부탁하며 맡기고 떠난 뒤 그 후로 그 절 문턱을 다시 넘지 않았습니다.

  그 스님은 아기를 자기 제자로 삼아 잘 키우려고 마음먹었습니다.   하지만 어머니와 떨어져서인지 아기는 밤새 심하게 자지러지는 듯이 매일 울어댔습니다.  여러 방법으로 달래보다가 할 수 없이 스님은 아기를 안고 불경을 외면서 소나무 주위를 돌았습니다.

  그러자 아기가 갑자기 울음을 그치고 새근새근 잠들어 버렸습니다.  그 신기한 소문이 순식간에 온 마을로 퍼졌고 같은 문제로 고민하고 있었던 어머니들이 그 소나무 주변으로 떼지어 찾아와 솔잎을 떼거나 껍질을 벗기기까지 했습니다.  그렇게 얻은 소나무 조각을 울고 있는 아기의 머리맡에 놓자 거짓말처럼 모두 울음을 그쳤다고 합니다.    그러니 어머니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하게 된 그 소나무는 금방 약해져 시들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훗날 두 번째 소나무도 같은 운명을 겪었고 현존하고 있는 소나무는 세 번째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음은 치요노이도 (千代の井戸) 의 이야기로 ‘치요의 우물’ 이라는 의미입니다.  치요는 불교 종파인 선종의 첫번째 여승 이름인데  그녀가 그 우물에서 물을 긷고 있던 중에 마침 불교에 인생을 바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됩니다.  그 날은 보름달 밤이었는데  그녀가 물을 긷고 있을 때 갑자기 물통 밑바닥이 빠져버렸고 조금 전까지 수면에 비치고 있었던 커다란 보름달도 물과 함께 순식간에 사라졌습니다.  그 순간 그녀는 인생의 허무함을 깨닫고 불교로 출가하는 것이 자기의 운명이라고 생각하게 됐다고 합니다.

  그녀는 도후쿠지 (東福寺) 라는 큰 절에서 불교를 수행하게 됐지만 같이 있었던 스님들이 그녀에 대해 불만을 호소하게 됩니다. 그녀가 너무나 아름답고 요염해서 스님들이 수행에 집중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스스로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그녀는 새빨갛게 달궈진 쇠젓가락으로 자기의 뺨을 꾹 눌렀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그녀의 조각상을 보면 뺨 표면에 보기 흉한 화상 흉터가 아직도 생생하게 남겨져 있습니다.

  남에게 도움이 되는 것도 아름다움도 허망할 뿐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절의 창시자가 모셔져 있는 본당 소시도 (祖師堂)

요나키도메노마츠 (夜泣き止めの松)

 

 

 

 

 

 

 

 

 

 

 

 

 

 

 

 

 

 

 

 

 

We use cookies on our website. Some of them are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the site, while others help us to improve this site and the user experience (tracking cookies). You can decide for yourself whether you want to allow cookies or not. Please note that if you reject them, you may not be able to use all the functionalities of the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