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를 선택하세요

 도후쿠지 (東福寺) 경내에 있는 훈다인 (芬陀院) 의 문. 훈다인은 셋슈지 (雪舟寺) 로 부르기도 한다.

  도후쿠지역 (東福寺駅) 에서 내려 센유지 (泉涌寺) 를 향해 완만한 고개를 올라가면 소쿠조인 (即上院) 가이코지 (戒光寺) 가 있고    역에서 선로를 따라 남쪽으로 약 7,8 분정도 가면 도후쿠지 (東福寺) 가 있습니다.

  다른 선종 사찰들처럼 도후쿠지의 경내에도 ~인 (院) 이라고 불리는 말사가 많이 있습니다.  그 중의 하나인 훈다인 (分陀院) 이라는 말사, 일명 셋슈지 (雪舟寺) 는 무로마치시대 (室町時代) (1336-1573) 에 수묵화를 최고의 수준에 오르게 한 셋슈 (雪舟) 라는 화가가 그곳에서 제자로 청춘시대를 보냈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고 합니다.

  어렸을 때 셋슈는 오카야마현 (岡山県) 에 있는 호후쿠지 (保福寺) 라는 절에서 승려가 되기 위해 수행을 하고 있었는데, 불경은 전혀 외지 않고 자기 주위에 있는 모든 것을 그리기만 했습니다.  어느날 스님 한 분이 벌로 본당 안에 있는 기둥 하나에 그를 묶어버렸습니다.  수 시간 후 그 스님은 셋슈의 발밑에 쥐가 있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그러나 그 쥐는 셋슈가 마루판에 떨어진 자신의 눈물을 엄지발가락으로 그린 것이었습니다.  결국 그 스님은 셋슈의 특별한 재능을 칭찬했고 셋슈가 원하는 것을 허락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로부터 몇 년 뒤 셋슈는 훈다인에서 수행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어느 날 절의 후원자가 그의 재능을 보기 위해 셋슈에게 거북의 그림을 그리도록 했는데, 잠시 생각하더니 그는 본당 앞에 있는 마당에서 몇 개의 바위들을 옮기기 시작했고 신기하게도 며칠 후부터 바위들은 마치 진짜 거북처럼 보이게 되었다고 합니다.

셋슈가 바위로 표현한 거북.

  그러던 어느날 밤 한 스님이 마당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길래 문틈으로 마당을 내다봤더니 거북이 한 마리가 다리를 움직이면서 기어가고 있었습니다.  그 스님은 불안한 마음에 셋슈에게 뭔가 대책을 마련하라고 했고  셋슈가 거북의 등판 위에 큰 돌을 세로로 올려놓자 거북은 움직임을 멈추었다고 합니다.

  그 이야기를 듣고 후원자가 셋슈에게 절 하나를 주겠다고 제안했지만 셋슈는 그 제안을 딱 잘라 거절했고 수묵화를 배우기 위해 중국으로 가버렸습니다.  사람들은 그가 그 거북을 타고 바다를 건너 갔다고도 합니다.

  그 돌거북은 지금도 셋슈지의 본당 앞 정원에 있습니다.  상상력을 발휘한다면 더욱 제대로 감상할 수 있겠지요?.

흰 모래와 바위의 배합으로 구성된 정원의 전망.

이끼가 끼는 차실 (茶室) 앞에 있는 정원.

 

 

 

 

 

 

 

 

 

 

 

 

We use cookies on our website. Some of them are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the site, while others help us to improve this site and the user experience (tracking cookies). You can decide for yourself whether you want to allow cookies or not. Please note that if you reject them, you may not be able to use all the functionalities of the site.